초록 |
연안 습지(Coastal wetland ecosystem)는 다양한 특수한 기능을 갖춘 지구상의 생태계이자, 지구의 중요한 탄소 저장고 가운데 하나이다. 세계 탄소 순환에서 연안 습지가 일으키는 작용이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C/N, 안정탄소 동위원소와 바이오마커 등 기법에 의한 황허강 하구 습지(Yellow River estuary wetland) 유기 탄소원 추적 관련 연구 성과를 요약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황허강 하구 습지의 탄소 고정 향상 전략을 연구하였다. 황허강 하구 습지는 중국의 전형적인 연안 습지로서 복잡한 탄소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각 추적기법은 유기 탄소원 중 육지 유입이 해양 유입에 비해 뚜렷한 우위를 차지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육지 유입의 주요한 방식은 지표 유출량과 식생이었다. 해양 유입은 내륙에서 연안으로 가면서 점차 강화되었고, 탄소원은 뚜렷한 시공간 변화를 나타냈으며 인간 활동의 간섭을 크게 받았다. 유기물질 근원으로부터 볼 때, 황허강 하구 습지의 탄소 매장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하천의 담수자원을 합리하게 배치하고, 식생을 보호하며, 식생 군락의 천이를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유기 탄소원의 연구에는 중첩 지역이 제한되고, 탄소원 구분이 상세하지 않으며, 영향 요소 연구가 비교적 적은 등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부족한 체계성, 제한된 관측, 메커니즘에 대한 미약한 이해 등으로 탄소 매장 능력의 향상에 정량적인 지침을 제공하기 어렵다. 향후 연구에서 몇 가지 분야에 관한 연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1) 다양한 지역과 다양한 환경 조건 사이의 비교 연구를 진행한다. (2) 더 특이한 바이오마커, 최적화 데이터 모델을 찾아서 근원을 더 상세하게 구분한다. (3) 퇴적물 내 다양한 근원의 유기물질의 매장 효율을 비교 연구한다. (4) 습지 탄소 매장 능력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각 분야의 요소를 종합 고려하여 연안 습지의 탄소 매장 능력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통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