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manganese sources and dietary manganese level on growth performance, antioxidative function and tissue mineral accumulation in grouper Epinephelus coioid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大連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Dalian Ocean University
ISSN 2095-138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NIE, Jia-quan,DONG, Xiao-hui,TAN, Bei-ping,CHI, Shu-yan,YANG, Qi-hui,LIU, Hong-yu,ZHANG, Shu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글리신 망간(GMn)과 히드록시 메티오닌 망간(HMn)이 갈색둥근바리(Epinephelus coioides) 유어의 성장, 항산화 기능과 광물 원소 퇴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기초 사료에 0, 2, 4, 8, 16, 32mg/kg(망간)의 GMn 또는 HMn을 첨가하여 각각 11가지 실험 사료로 만들었다. 수온이 (28±2)℃인 조건에서 초기 체질량이 12.26g인 갈색둥근바리 유어에게 8주 투여하였다. 연구 결과, (1) 대조군(망간을 첨가하지 않음)의 무게 증가율(WGR)은 망간 첨가그룹보다 뚜렷하게 낮았고(P (2) 갈색둥근바리 간장에서 망간 과산화물제거효소(Mn-SOD) 활성은 망간 첨가 수준의 증가에 따라 먼저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말론디알데히드(MDA) 함량은 망간 첨가 수준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간장 Mn-SOD 활성을 근거로, 1원2차 회귀방정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GMn와 HMn을 망간 자원으로 할 때 갈색둥근바리의 사료에서 망간 최적 수요량은 각각 21.15, 20.61mg/kg이었다. (3) 갈색둥근바리 척추골과 전체 어류의 망간 함량은 사료의 망간 함량 증가에 따라 뚜렷하게 증가하였다(P 연구 결과, 사료의 망간 함량이 갈색둥근바리 유어 성장 수요를 만족시킬 때, 유기 망간 자원을 더 보충하는 것은 그 성장 성능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GMn의 생물이용률은 HMn에 비해 높았으며, 2가지 망간 자원의 항산화 능력은 유사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68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pinephelus coioides,manganese,growth performance,antioxidative function,mineral accumulation,갈색둥근바리,망간,성장 성능,항산화 능력,광물 원소 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