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of urea in the East China Sea in spring of 2011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學報 = Acta oceanologica sinica
ISSN 0253-419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Xue-jing,SHI, Xiao-yong,ZHAO, Yu-ting,ZHANG, Chuan-s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2011년 봄철(3-5월), 동중국해 적조 대발생 지역의 규조와 갑조 적조 폭발 및 천이 과정에서 3번의 운항을 거쳐 현장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해당 해역 요소의 함량 변화, 평면 분포 특성 및 영향 요소에 대해 초기 탐구하였다. 탐구 결과, 조사한 해역 요소의 함량은 검출제한~6.32μmol/L 범위내에 있었으며, 평균 농도는 (1.33±0.84) μmol/L이고 해당 해역의 중요한 용해 유기질소 성분이다. 그중, DIN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73%~18.04%이고 DON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63%~15.73%이다. 적조 폭발은 요소 함량과 분포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며, 해당 해역 요소의 실제 농도 수준과 분포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또 제어할 수 있다. 그 가운데서 규조 적조 폭발 전후, 요소와 DIN 함량이 감소되는 백분율은 각각 36.67%와 49.88%이며, 갑조 적조 폭발 전 후, 요소와 DIN 함량 감소 백분율은 각각 8.78%와 28.97%이다. 규조 적조기간에 요소의 고가 지역과 엽록소 고가 지역은 일치하였으며, 그 함량은 정상 바다지역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갑조 적조 기간에 엽록소의 고가 지역은 요소 저가 지역에 대응하여 적조지역 내 요소 함량이 1μmol/L 이하로 감소하였다. 요소는 바다지역 갑조류 식물 플랑크톤의 흡수 이용에 연구되는 유효 질소원이다. 해역의 대규모 규조와 갑조 적조 폭발과 천이 조사 기간에, 요소의 평면 분포는 연안이 낮고 먼 해안이 높은 뚜렷한 분포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염도 수치와 뚜렷한 상관성이 없었고, 해당 시기 육상 투입은 해당 해역 요소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가 아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06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Yangtze estuary,East China Sea,HABs,urea,distribution,창장강 하구,동중국해,적조,요소,분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