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DENG, Ren-ju,FAN, Jian-xin,WANG, Yong-qing,JIN, Ji-fen,LIU, Tao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야생 피타야(pitaya) 검화(Hylocereus undatus (Haw.) Britt. et Rose)와 중국 구이저우(Guizhou) 주요 재배 품종 '쯔훙룽(Zihonglong)', '징훙룽(Jinghonglong)', '펀훙룽(Fenhonglong)' 삽목묘(Cuttage seedling)를 재료로 인공 온도 조절을 통하여 저온 적응, 저온 냉해 처리 및 생장 회복을 진행하였으며, 처리하지 않은 것을 대조 그룹으로 하여 다양한 처리 조건에서의 유묘의 전해질 유출율(electrolyte leakage rate, REC), 수용성 당, 수용성 단백질, 유리 프롤린(proline)과 말론알데히드(malonaldehyde, MDA)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전해질 유출율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높아지고 생장을 회복한 후 전해질 유출율은 대조 그룹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유묘 체내 수용성 당, 수용성 단백질, 프롤린 및 말론알데히드 함량은 저온 적응과 저온 처리 후에 높아지며 생장을 회복한 후에는 낮아진다. 수용성 당과 프롤린 함량은 다양한 처리에 따라 변화 폭이 비교적 크며 MDA와 수용성 단백질은 다양한 처리에 따라 변화 폭이 비교적 작다. Fuzzy 수학에서의 하위함수법(Subordinate function)을 이용하여 내한성에 대하여 종합적인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피타야의 내한성은 강한데로부터 약한데로 순서대로 검화 gt; '징훙룽' gt; '펀훙룽' gt; '쯔훙룽' 순이며 생장을 회복하였을 때의 시험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