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Ya-meng,TANG, Zhen-ming,LI, Xin-shu,YANG, Zi,YAO, Dong-rui,LIU, Zhao-pu,XU, Jun-tian |
초록 |
미래의 해양 산성화를 배경으로, 온도 변화가 대형 조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녹조 Ulva linza를 실험 재료로 선정하였다. 2개 CO 2 농도, 즉 일반 공기 수준 (LC:390μL·L -1 )과 높은 CO 2 수준 (HC:1,000μL·L -1 )을 설정한 후, 20℃에서 Ulva linza 유묘를 배양하기 시작하였으며, 성체로 생장된 후 다양한 온도 (5, 10, 15, 20, 25, 30 ℃)의 환경에 옮겨 조류의 광합성 작용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해양 산성화는 Ulva linza의 상대 생장률을 뚜렷하게 향상시켰다. 조류 광합성률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조류의 호흡 작용과 질산환원 효소의 능력은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광합성 색소를 연구한 결과, 높은 CO 2 수준은 엽록소a와 엽록소b의 함량을 뚜렷하게 감소시켰다. 온도 변화는 다양한 CO 2 로 처리하였을 때 다양한 효과가 나타났다. 20℃에서 장기간 생장한 Ulva linza의 최대 광합성률(maximum photosynthetic rate, P max ), 호흡률(respiration rate, R d ), 광포화점(light saturation point, I k ), 광보상점(light compensation point, I c )은 환경 온도의 감소와 더불어 감소하였으나, 광합성 효율(photosynthetic efficiency, a)은 먼저 증가하였다가 다시 감소하였으며, 그 중 높은 CO 2 수준은 조류의 α, R d , I c 를 향상시켰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Ulva linza의 P max , I k 는 증가하였고, α, R d , I c 는 모두 어느 정도 감소하였으며, 고온+높은 CO 2 수준에서의 α과 R d 는 높았으나 광보상점은 낮았다. 정상적인 환경에 비해, 해양 산성화 환경에서 서식하는 Ulva linza이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 더 좋은 적응 능력을 갖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