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GUO, Ying-tian,FAN, Kun,BAI, Guo,SHI, Jie-xia,DONG, Kai-mao,GUAN, Xue-lian,ZHENG, Jian |
초록 |
연속 6일 동안의 고온 스트레스(매일 9:00~15:00는 42℃, 나머지 시간은 30℃) 및 1일 회복 기간(대조군, 매일 6:00~18:00는 30℃, 나머지 시간은 20℃)에서 물싸리(Potentilla fruticosa) 2년생 유묘 엽편의 생리생화적 지표 변화를 측정하여, 물싸리 내열성의 생리생화 메커니즘을 탐구하였다. 탐구 결과, 고온 스트레스 시간이 연장됨에 따라, 세포막 투과성 및 말론디알데히드(MDA), 수용성 당과 유리 프롤린(proline) 함량은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과산화물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페록시다아제(Peroxidase, POD), 카탈라아제(CAT), 아스코베이트 퍼옥시데이스(ascorbate peroxidase, APX) 활성은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세포막 투과성과 대조군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것 이외, 기타 지표는 모두 대조군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1일 회복 후, 각 지표 수준은 대조군과 같았다. 결과적으로, 고온 스트레스 조건에서 물싸리 유묘는 삼투조절 물질의 수용성 당, 프롤린 함량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온 역경에 대한 적응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동시에 POD, CAT, APX 활성을 강화시켜 스트레스 축적에 의한 H 2 O 2 및 활성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세포내 활성 산소의 생성과 제거의 동적 평형을 유지하고, 세포막의 안정성을 보호하며, 고온 역경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