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drought stress on growth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Cinnamomum camphora sapling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U, Yi,HU, Ting-xing,HU, Hong-ling,CHEN, Hong,WANG, Bin,LI, H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분재와 지속적 건조 현상을 통하여 건조 스트레스(2일을 처리 간격으로 하는 0-16일의 지속적 건조)가 녹나무(Cinnamomum camphora) 묘목의 생장과 광합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녹나무 묘목의 기저 직경, 나무높이 생장량은 억제되었다. 약한 정도, 중간 정도의 건조 처리(건조 시간 2-8일)에서 엽편 함수량과 엽편 상대함수량은 대조군과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강한 정도의 건조 처리(건조 시간 gt;10일) 조건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P 모든 건조 처리의 순광합성률(P n ), 증산속도(T r ), 기공전도도(G s )는 서로 다른 정도로 억제되었다. 기공 요소와 비기공 요소의 공동작용은 녹나무 묘목의 광합성 작용에 영향을 미쳤으며, 건조 초기(건조 시간 2-8일)에 기공 요소가 주도적 작용을 하였으나, 건조 후기(건조 시간 gt;10일)에 비기공 요소가 주도적 작용을 하였다. (4)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녹나무 묘목 엽편의 겉보기 양자수율(apparent quantum yield, AQY), RuBP 카르복실화율(carboxylation rate, CE), 광보상점(light compensation point, LCP) 및 CO 2 보상점(CCP)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건조 현상이 환경 중 빛과 CO 2 에 대한 녹나무 묘목의 이용 및 적응 능력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설명한다. 결과적으로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녹나무 묘목의 수분생리 상황은 나빠지고, 광합성 능력 및 광합성 일변화 과정은 영향을 받았으며, 환경 중 빛과 CO 2 에 대한 이용 및 적응 능력도 뚜렷하게 감소되어 최종적으로 녹나무 묘목의 형태생장이 억제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55935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innamomum camphora,drought stress,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water physiology,growth,녹나무 묘목,건조 스트레스,광합성 특성,수분생리,형태 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