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QIAN, Yi-fan,LI, Yun-xiang,CHEN, Lan-ying,HUANG, Fu-shuo,QUAN, Qiu-mei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Michelia maudiae의 수분 생물학적 특성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시화(West Normal)사범대학교 내의 Michelia maudiae를 연구재료로 하고, 현장 관찰법을 이용하여 Michelia maudiae의 개화동태, 꽃 방문자(floral visitors) 및 꽃 방문 빈도를 기록하였다. 버어니어 캘리퍼스 방법(Vernier caliper method)을 이용하여 Michelia maudiae의 이종 교배(outcrossing) 지수(OCI)를 측정하고 아세트산카민 방법(aceto carmine method)을 이용하여 꽃가루/배주 비율(pollen and ovule ratio, P/O)를 측정하였으며 배깅(bagging)과 인공 수분법으로 Michelia maudiae의 육종 시스템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1) Michelia maudiae는 초봄 개화 식물이다. 개체군의 개화 시기는 2~3월이고 30일 정도 지속되며 단일 꽃의 개화기는 5~6일이다. 단일 꽃의 개화 초기에 가장 안쪽층의 꽃잎은 피지 않았는데 이는 습하거나 비가 많이 오는 환경에 적응하며 꽃밥과 암술머리가 빗물에 씻기지 않게 보호하고 자웅성 적합도를 높이며 번식 성공을 보장하였다. (2) Michelia maudiae의 유효 꽃가루 매개자는 꿀벌이며 꽃 방문 시간은 맑은 날씨의 정오에 집중되어 있다. (3) Michelia maudiae의 이종 교배 지수(OCI)는 5이며 꽃가루/배주 비율(P/O)은 2,933±50 였다. (4) Michelia maudiae는 웅성선숙(protandry)하며 암술머리의 수용성은 개화 2~3일에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5) 배깅과 인공수분 결과, Michelia maudiae는 선택적 자가수정과 타가수분하였으며 그중 타가수분의 결과율과 결실률은 모두 자가수분한 것 보다 뚜렷이 높았다. 초봄 개화한 Michelia maudiae의 꽃가루 매개자는 단일 꿀버이며 번식 시스템은 타가수정이고 일부분이 자가 화합한다. 본 연구 결과는 도입육종, 우량종 선택육종에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해당 자원을 더욱 잘 보호하고 이용하는 데 기반을 마련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844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