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l Principles of Corresponsive Relationship Formation at Molecular Level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中國生物化學與分子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
ISSN | 1007-7626, |
ISBN |
저자(한글) | SUN, Shi-zhong,GUAN, Hui-lin,CHEN, Jin-lia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대응 관계(corresponsive relationships)가 형성되는 분자 메커니즘(molecular mechanisms)에 대한 논술은 이론적 측면으로부터 대응 관계의 본질과 생명 시스템 운행의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응용 측면으로부터 인공 이용, 간섭 혹은 구축에 도움을 주는 과정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분자 생물학의 빠른 발전은 대응 관계의 분자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 연구와 전면적인 인식에 조건을 제공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생물 대분자에 대한 비교 결과를 종합하고, 그 기초에서 계통적인 다중 단량체(Multi monomer) 생물 대분자의 모델 이론을 제안하는 것을 통해 대응 관계가 형성되는 일반 분자 메커니즘을 밝히려고 시도했다. 해당 모델의 이론에 의하면, 다중 단량체 생물 대분자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므로 다양한 생물학 기능을 고효율적으로 완성하려면 대응 관계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중 단량체 생물 대분자의 구조와 성질도 대응 관계의 형성에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대응 관계의 형성 과정은 상대적으로 독립되고 3개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 복잡한 과정이다. 다중 단량체 생물 대분자의 구조 성질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리간드(Ligand) 간 식별 메커니즘과 작용 메커니즘 및 친화성(affinity) 등 3개 방면으로부터 대응 관계의 형성 메커니즘을 밝혔다. 다중 단량체의 생물 대분자가 대응 관계를 형성할 수밖에 없는 원인, 대응 관계 형성의 분자 메커니즘이 가진 복잡성 및 이론과 응용 방면의 중요한 가치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30794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corresponsive relationships,molecular mechanisms,recognition mechanisms,functional mechanisms,affinity,대응 관계,분자 메커니즘,식별 메커니즘,작용 메커니즘,친화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