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istribution of CRISPR/Cas system in Shigella clinical strains and its relationship with virulence gen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ISSN 0253-26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UO, Xiang-jiao,WANG, Ying-fang,DUAN, Guang-cai,WANG, Lin-lin,WANG, Peng-fei,YANG, Hai-yan,XI, Yuan-l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목적] 임상 분리 시겔라균(Shigella)에서 CRISPR/Cas 시스템(system)의 분포 특성을 이해하고 독성 유전자(Virulence gene)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방법으로 10쌍의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여 57주 임상 분리 시겔라균의 CRISPR1, cas2-cas1, cas6e-cas5, cas7, cse2, cse1-cas3 유전자와 독성 유전자 ipaH, ial, ipaBCD, virA에 대해 검측을 진행하였다. CRISPR1의 PCR 결과에 대해 서열 측정(sequencing)을 진행하고 CRISPR finder 온라인 소프트웨어(on-line software)를 사용하여 CRISPR1 유전자 좌(gene locus)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카이 스퀘어 테스트(chi square test)를 통하여 CRISPR/Cas 시스템과 독성 유전자의 관계를 초보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서열 분석 결과, CRISPR1 유전자 좌에서 스페이서 서열(spaced sequence) 수량이 비교적 적고 서로 다른 균주 사이 일치성(consistency)이 비교적 높다. 57주 시겔라균중 84.2%(48/57)의 시겔라균에서 CRISPR/Cas 시스템을 검측할 수 있고 이 중 68.8%(33/48)의 시겔라균에서 cas6e-cas5 유전자와 cse2 유전자의 삽입 서열(Insertion sequence)을 발견하였다. 독성 유전자의 ipaH, ial, virA, ipaBCD의 검출률(detection rate)은 차례로 100%, 100%, 98.2%, 87.7%이고 독성 유전자 ipaBCD의 양성 효율(Positive rate)은 활성 CRISPR/Cas 시스템의 분포와 무관하다(P gt;0.05). [결론] CRISPR/Cas 시스템은 임상 분리 시겔라균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일부 cas 유전자에 삽입 서열이 있으며 시겔라균에서 활성 CRISPR/Cas 시스템과 독성 유전자 분포의 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77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higella,CRISPR/Cas system,PCR,Insertion sequence,Virulence gene,시겔라균,CRISPR/Cas 시스템,중합효소 연쇄반응,삽입 서열,독성 유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