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indirect determination of biomass in solid-state fermentation of Monascus by the measurement of glucosamine content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
ISSN | 0253-2654, |
ISBN |
저자(한글) | FAN, Hai-bin,HUANG, Chang-yi,XU, Gan-rong,ZHANG, Bo-bo,LIU, Fe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목적] 홍국균(Monascus purpureus) 고체 발효 중 생물량(biomass)의 변화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기법] 물리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균체량(biomass) 및 글루코사민(glucosamine) 함량을 측정하고 서로 다른 배양 시간, 배양기 구성, 배양 방식 등 조건에서 균체량 및 글루코사민 함량의 관계를 연구하여 생물량 및 글루코사민 함량의 전환 관계식을 구축한다. 또한, 해당 세균 고체 배양물의 근적외선 스펙트럼(near infrared spectrum) 데이터 및 실제 측정 글루코사민 함량에 관련된 PLS 모델을 구축한다. [결과] 근적외선 스펙트럼 방법으로 글루코사민을 측정하여 고체 발효 생물량을 신속하게 예측하는 방법을 구축하였다. 그중에 최적 근적외선 모델의 RMSECV(root mean square error of cross-validation of calibration set)는 0.2094이고 예측 세트(prediction set)의 관련 계수(R p ) 및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는 각각 0.9934, 0.2173이었다. 그리고 구축된 전환 관계식으로 생물량의 계산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결론] 구축된 생물량과 글루코사민의 전환 관계식을 기반으로 하고 근적외선 스펙트럼 방법을 이용하여 홍국균 고체 발효 과정 중 생물량의 변화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022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Solid-state fermentation,Monascus,Biomass,Glucosamine,NIR,고체 발효,홍국균,생물량,글루코사민,근적외선 스펙트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