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dentification and Function Research of fabZ1 and fabZ2 of Lactococcus lacti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ISSN 1000-328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MA, Jin-cheng,LUO, Biao,HU, Zhe,WANG, Hai-h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Ⅱ형 지방산 합성 시스템의 모델 생물이며 3-히드록시데카노일-ACP 탈수/이성질화 효소(FabA)는 불포화지방산 합성의 핵심 효소이다. 생물정보학적 분석 결과, 락토코코스 락티스(Lacttoccus lactis) 유전체에 FabA로 표지된 유전자는 없지만, 3-히드록시데카노일-ACP 탈수 효소로 표지된 LlfabZ1 및 LlfabZ2 유전자는 존재하고, 그 암호화된 단백질은 EcFabZ와 각각 41%와 45.1%의 상동성이 있으며, 모두 다 3-히드록시데카노일-ACP 탈수 효소의 두 개 보존적인 α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lfabZ1 및 LlfabZ2를 각각 함유한 플라스미드 벡터를 사용하여 대장균 fabA의 온도 민감성 돌연변이주 CY57를 유전적으로 보완한 결과 42℃에서 CY57은 성장을 회복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무세포 추출물을 분석한 결과, LlFabZ1은 trans-2-decenoyl-ACP를 cis-3-decenoyl-ACP로 이성질화 할 수 있었지만 LlFabZ2는 그렇지 못하였다. 대장균 fabZ의 돌연변이주 HW7를 유전적으로 보완한 결과, LlfabZ2를 함유한 형질전환체는 유도 조건에서 성장을 회복할 수 있었지만 LlfabZ1은 그렇지 못하였다. 체외에서 지방산 합성 반응을 재구성하고 단백질 활성을 측정한 결과 LlFabZ1은 FabA 기능을 하고, LlFabZ2는 다만 3-히드록시데카노일-ACP 탈수 효소의 기능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 LlFabZ1 및 LlfabZ2의 돌연변이주는 얻지 못하였다. 이는 LlFabZ1 및 LlFabZ2는 락토코코스 락티스 지방산 합성 효소계에서 필수 불가결한 핵심 단백질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위의 결과는 지방산 합성에서 락토코코스 락티스 두 유전자 fabZ1 및 fabZ2의 기능을 증명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28028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actococcus lactis,bacterial fatty acid synthesis,3-hydroxydecanoyl-ACP dehydratase/isomerase,3-hydroxydecanoyl-ACP dehydratase,락토코코스 락티스,세균 지방산 합성,3-히드록시데카노일-ACP 탈수/이성질화 효소,3-히드록시데카노일-ACP 탈수 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