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roteomic Profiling of Membrane Microdomain Proteins from Hepatocytes during Rat Liver Regenerati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生物化學與分子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ISSN 1007-762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AI, Nai-xuan,LI, Jiang-lin,JIANG, Miao,WANG, Zi-jun,LI, Mei-xiang,WANG, Ying,WANG, Xian-chun,CHEN, P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동물 간장은 재생능력이 강한 기관이다. 본 연구는 간 재생의 메커니즘이 간 이식 등 간 손상 관련 질환 치료에 제공하는 이론적 근거를 연구하고 논의하였다. 원형질 막은 '지질뗏목(lipid rafts)'과 '원형질 막 포낭(caveolae)'의 미세 영역을 포함하는데, 세포 내 식작용(Endocytosis)과 음작용(pinocytosis), 신호 전달, 콜레스테롤 운반 등에 참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간 재생(liver generation) 과정에서, 간 원형질 막 미세영역(plasma membrane microdomain)의 지질뗏목 단백질은 내부 제어의 영향을 받아 변화를 일으킨다. 지질뗏목 미세 영역의 신호 단백질 변화 포획 과정은 간 재생 과정의 신호 경로를 이해하고 논술하는데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성숙한 큰 쥐의 2/3되는 간을 절제한 모델을 자당 밀도 구배 이심법과 결부하여 가짜수술 그룹과 간 재생 그룹의 큰 쥐 간세포 원형질막을 추출하였으며, 진일보 정제를 통하여 원형질 막 미세 영역의 단백질을 얻었다. SDS-PAGE 분리 및 ESI-QTOF 질량분석법 감정을 통하여 이미 획득한 원형질 막 미세영역의 단백질에 대해 차이성 분석을 실행하였다. 실험 결과, 30개 미세 영역 단백질에 차이성 발현이 존재하였는데, 그 중 상향조절 개수가 13개, 하향 조절 개수가 17개였다. 생물정보학 분석 결과, 감정하여 얻은 단백질은 주로 세포 증식, 프로그램성 사망, 세포 사멸 등 제어 과정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간 재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혈관 생성 등 신호 경로와도 관련된다. 본 논문은 향후 임상에서의 간 재생 연구에 일정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원형질 막 미세영역 단백질을 연구하는데 참고와 관련 기초 수치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82667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iver generation,plasma membrane microdomain,LC-MS/MS,proteome,간 재생,원형질 막 미세 영역,LC-MS/MS 질량분석,단백질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