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AI, Nai-xuan,LI, Jiang-lin,JIANG, Miao,WANG, Zi-jun,LI, Mei-xiang,WANG, Ying,WANG, Xian-chun,CHEN, Ping |
초록 |
동물 간장은 재생능력이 강한 기관이다. 본 연구는 간 재생의 메커니즘이 간 이식 등 간 손상 관련 질환 치료에 제공하는 이론적 근거를 연구하고 논의하였다. 원형질 막은 '지질뗏목(lipid rafts)'과 '원형질 막 포낭(caveolae)'의 미세 영역을 포함하는데, 세포 내 식작용(Endocytosis)과 음작용(pinocytosis), 신호 전달, 콜레스테롤 운반 등에 참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간 재생(liver generation) 과정에서, 간 원형질 막 미세영역(plasma membrane microdomain)의 지질뗏목 단백질은 내부 제어의 영향을 받아 변화를 일으킨다. 지질뗏목 미세 영역의 신호 단백질 변화 포획 과정은 간 재생 과정의 신호 경로를 이해하고 논술하는데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성숙한 큰 쥐의 2/3되는 간을 절제한 모델을 자당 밀도 구배 이심법과 결부하여 가짜수술 그룹과 간 재생 그룹의 큰 쥐 간세포 원형질막을 추출하였으며, 진일보 정제를 통하여 원형질 막 미세 영역의 단백질을 얻었다. SDS-PAGE 분리 및 ESI-QTOF 질량분석법 감정을 통하여 이미 획득한 원형질 막 미세영역의 단백질에 대해 차이성 분석을 실행하였다. 실험 결과, 30개 미세 영역 단백질에 차이성 발현이 존재하였는데, 그 중 상향조절 개수가 13개, 하향 조절 개수가 17개였다. 생물정보학 분석 결과, 감정하여 얻은 단백질은 주로 세포 증식, 프로그램성 사망, 세포 사멸 등 제어 과정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간 재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혈관 생성 등 신호 경로와도 관련된다. 본 논문은 향후 임상에서의 간 재생 연구에 일정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원형질 막 미세영역 단백질을 연구하는데 참고와 관련 기초 수치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