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Yue,LI, Hui-juan,GAO, Fang,WANG, Tian,MAO, Wei-feng |
초록 |
단백질 키나아제는 진핵세포의 신호 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성장, 발육, 전이 및 사멸 등 각 세포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아울러, 그 발현 수준 및 활성이 이상할 경우, 암과 심혈관 질환 및 기타 각종 질환으로 나타나는데 단백질 키나아제는 이런 질병의 치료에 매우 좋은 분자 표적이다. 현재, 미국에서 식품약품감독관리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의 출시 허가를 받는 28개의 단백질 키나아제 억제제는 상응한 임상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현재 다양한 키나아제 활성 측정법이 있는데 그중 키나아제의 생화학적 측정법이 가장 많은 외, 전형적인 방사성 동위원소 측정법 및 비균질상 비방사성 동위원소 측정법(즉 효소면역측정법, 역상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 핵자기공명 분석법 등)이 있다. 하지만 각종 균질상 비방사성 동위원소 측정법은 그 오염성이 작고 조작이 간단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키나아제 억제제 프로파일링으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종 키나아제의 생화학적 측정법 및 그 발전 역사를 종합적으로 서술하였으며 또한 일부 새로운 추세 즉 키나아제 프로파일링을 소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