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덱사메사돈이 흰쥐의 뇌의 푸로스타글란딘 lt;TEX gt;$D_2$ lt;/TEX gt; 함량에 미치는 영향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박시원,이상섭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84-01-01
초록 본 연구는 덱사메사돈이 흰쥐의 뇌의 $PGD_2$ (prostaglandin $D_2$ )의 기본 준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행하였다. 우선 몇가지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식수에 분산 용해 (10 mg/l)시켜 일주일간 경구투여했을 때 전반적으로 전뇌의 $PGD_2$ 의 함량이 감소되었으며 그 억제 효과는 덱사메사돈의 경우 40%로 가장 현저하였다. 덱사메사돈을 경구투여하여 얻은 시간의존표에 의하면 투여 첫날부터 제 칠일까지 계속 $PGD_2$ 의 함량 감소 추세가 증가하였다. 덱사메사돈을 복강내 주사로 투여했을 때도 $PGD_2$ 의 함량 억제가 신속히 일어났으며 투여후 8시간째에 35%의 최고 억제율을 보였다. 아울러 $PGD_2$ 의 함량 자체가 오후 5시에 최고치(2.4 ng)를 나타내는 일일주기성을 보였다. 용량의존성을 관찰하기 위해서 체중 100 g당 $10 ;{ mu}g$ 에서 $1,000 ;{ mu}g$ 까지 복강내 주사를 행하였으며, $200 ;{ mu}g$ 농도까지는 억제효과의 상관성이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덱사메사돈의 $PGD_2$ 함량에 대한 억제효과가 뇌의 어느 부위에서 가장 현저한지 밝히기 위하여 뇌를 13개 부분으로 나누어 측청한 바 모든 부분에 있어서 비교적 균등하게(18~29%) $PGD_2$ 의 함량이 감소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덱사메사돈은 부신-시상하부로 연결되는 부신피질호르몬 분비에 대한 피드백조절자로서의 작용 이외, 전뇌에 고르게 분포되어 그 부분의 세포막에서 유래되는 $PGD_2$ 의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중추신경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리라 유추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43475519071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