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Ying,ZHANG, Ye-jun,HUANG, Hui,LI, Hong-yan,CUI, Yu-ying,ZOU, Wei |
초록 |
자가포식(autophagy)은 세포가 리소좀을 통해 자가 소화하는 과정이며 세포내 물질의 순환적 이용을 구현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또한 곤충 세포의 분화와 개체 발육에서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인시목 곤충은 완전 변태 곤충으로서 자가포식과 사멸을 통해 변태 재구성 과정을 달성한다. 이런 원인으로 인시목 곤충은 자가포식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모델 생물로 이용된다.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Atg8은 포유동물 미세소관 관련 단백질 1 경쇄 3의 동족체이며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중 핵심 단백질 패밀리이다. 또한 자가포식소체(autophagosomes)의 형성, 막의 연장, 특정 물질 식별 등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논문은 인시목 곤충의 자가포식 신호경로에서 Atg8의 작용, Atg8의 구조적 특성, Atg8의 발현 분포, Atg8-PE/Atg8 수준과 자가포식 활성 간의 관계 등을 종합 서술하였다. Atg8-PE는 자가포식 신호경로 중에 존재하는 두 개 유비퀴틴 결합 시스템 중 하나로서 자가포식에서 핵심적 작용을 한다. 서열 분석 결과, 인시목 곤충의 Atg8은 기타 진핵 생물의 상동 단백질과 총체적 구조에서 유사하였다. 특히 기타 곤충의 상동 단백질과 아미노산 서열에서 고도로 일치하였는데 이는 Atg8의 고도 보수성을 설명한다. 인시목 곤충의 서로 다른 발육 단계에서 Atg8은 중장, 침샘, 난소, 지방체, 견사샘 등 기관에서 다르게 발현하였다. 또한 핵질에서 Atg8의 분포도 서로 달랐다. 세포핵과 세포질 사이에서 Atg8의 유동은 번데기화 전단계(pre-pupal stage)의 특정 세포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Atg8-PE의 세포내 발현 수준 또는 Atg8 함량의 변화에 근거하여 세포 자가포식의 진행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