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LONING OF GROWTH HORMONE RECEPTOR AND SALINITY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ITS RELATED GENES IN SEABASS LATEOLABRAX MACULAT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與湖沼 = Oceanologia et limnologia Sinica
ISSN 0029-81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Pei,CHI, Mei-li,WEN, Hai-shen,QIAN, Kun,NI, Meng,ZHANG, Ya-chen,HUANG, Zheng-ju,SONG, Zhi-fei,CHAI, Sen-h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성장 호르몬 수용체(Growth hormone receptors, GHR)는 GH/IGF 축의 중심 부분으로서 내분비 조절에서 중요한 작용을 발휘한다. 본 실험에서는 cDNA 말단 신속 증폭법(rapid amplifycation of cDNA ends, RACE)을 이용하여 농어 GHR1 및 GHR2의 완전한 cDNA 염기서열을 클로닝하였다. 급성 저염도 조절 실험(Acute salinity regulation experiment)에서는 해수 그룹, 절반 해수 그룹 및 담수 그룹을 설정하였다. 급성 저염도 조절의 24, 48,96, 144, 192h 이후, 농어 간장 내 GHRs, IGF-1의 발현 상황 및 뇌하수체 내 GH의 발현 상황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GHR1의 완전한 cDNA 염기서열 길이는 2,436bp였으며, 암호화된 아미노산은 637개였다. GHR2의 완전한 cDNA 염기서열 길이는 2,940bp였으며 암호화된 아미노산은 582개였다. GHR1과 GHR2는 신호 펩티드, 세포외 영역, 막관통 영역, 세포 내부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또한 구조적 차이를 보였다. 뇌, 신장, 아가미에서 GHR1의 발현은 GHR2의 발현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근육, 뇌하수체, 간장, 맹장, 흉선, 심장 내에서 GHR2의 발현은 GHR1의 발현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24h일 시, 각 그룹에서 GHR1의 발현는 변화가 없었지만 GHR2, GH, IGF-1의 발현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그 후, 해수 그룹에 비하여, 담수 그룹 및 절반 해수 그룹에서 GHRs 및 IGF-1의 발현은 증가하였지만 GH의 발현은 감소하였으며 또한 GH는 GHR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농어 GHR2는 SL의 수용체이며, GH/IGF축은 GHRs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저삼투 조절에 참여하며 또한 하류 IGF-1의 발현을 활성화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68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ateolabrax maculatus,salinity,growth hormone receptor,growth hormone,insulin-like growth factor 1,농어,염도,성장호름몬 수용체,성장,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