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nalysis of three wheat cytoplasmic male sterile lines mitochondrial DNA by AFLP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technology
ISSN 1000-306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u, Qidi,Zhang, Xinbo,M, Ejaz,Zhang, Gaisheng,Che, Huixue,Wang, Shuping,Song, Qilu,Yang, Shuling,Zhang, Longy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세포질적 웅성 불임성(cytoplasmic male sterility)은 밀 잡종이 우세를 이용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3가지 웅성 불임계 밀의 세포질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해당 사립체 DNA를 대상으로 유전자 증폭산물 길이 다형성(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분별 원심분리법(differential centrifugation)과 불연속적 자당 밀도 구배 원심분리법(Discontinuous sucrose density gradient ultracentrifugation)으로 밀 사립체를 추출하고 순화하였다. 연구 결과, 해당 방법으로 얻은 mtDNA의 질량과 순도는 PCR반응 및 유전학 분석에 적합하다. 64쌍의 선택적 증폭 프라이머에서 4쌍의 특이적 프라이머를 선별하였다. 그 중 프라이머 E1/E7은 ms(Kots)-90-110 불임계에서 3개의 특정 밴드를 증폭해내고 프라이머 E4/M2은 ms(Ven)-90-110 불임계에서 2개의 특정 밴드를 증폭해냈으며 프라이머 E7/M6은 ms(S)-90-110 불임계에서 2개의 특정 밴드를 증폭해내고 프라이머 E6/M4은 ms(Kots)-90-110 불임계에서 2개의 특정 밴드를 증폭해냈다. 이러한 특정 프라이머는 Aegilops kotschyi, Ae.ventricosa, Triticum spelta등을 포함한 3가지 불임 세포질 형태의 밀 웅성 불임계 세포질의 분자 표기를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밀 세포질적 웅성 불임성 메커니즘을 연구하는데 있어 분자 기초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71890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wheat,cytoplasmic male sterility,mitochondrial DNA,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molecular marker,밀,세포질적 웅성 불임성,사립체 DNA,유전자 증폭산물 길이 다형성,분자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