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고기후 변화(paleoclimate change)[예를 들어, 최후최대빙하기(the Last Glacial Maximum)의 갱신]가 전형적인 생물의 시간 및 공간적 분포와 효과적인 개체군 크기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은 생물지리학과 진화 유전학의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본 논문은 미토콘트리아(mitochondria) cox2 ndash;3 서열과 RAPD 2가지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캐나다-서북대서양 지역의 8개 지점(총 138개 개체)에 분포한 Palmaria palmata에 대한 계통생물지리학(Phylogeography)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후최대 빙하기의 갱신시기가 다가올 때, Palmaria palmata가 어떻게 적응성의 진화 메커니즘을 유도하여 현재의 지리적 분포패턴을 형성하였는지를 명확히 하려고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미토콘트리아 cox2 ndash;3 구간서열에서 총 11개 단상형(Haplotype)을 검출하였는데 그 중, 1개 단상형(C3)은 전반적인 개체군 중에 모두 분포되었으며 별모양의 유전자 계통(Stellate gene lineages)의 중심에 위치하였고 조상 단상형으로 인정하였다. St.Lawrence만 내 북부의 2개 개체군 다양성은 제일 높았으며 기타 지리 개체군과의 분화가 제일 뚜렸하였다. 이는 RAPD 데이터에 기반한 STRUCTURE 클러스터 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Palmaria palmata의 유전다양성 및 그 단상형 계통 구조 특성에 의하여, 캐나다-서북대서양 연안에 Palmaria palmata의여러 빙하기 피난소가 존재한다는 것을 추측하였다.분자다형성 분석(AMOVA) 결과, Palmaria palmata의 유전적 변이는 주요하게 개체군에서 나타났으며, St.Lawrence만과 Fundy만 그룹 간의 유전적 변이는 비교적 작았다. cox2 ndash;3 서열의 Bayesian skyline plots 분석결과는 Palmaria palmata가 캐나다-서북대서양 연안에서 미세한 개체군 확장을 경험하였으며 그 시간은 약 18~13만년 전이라는 것을 반영하였다. St.Lawrence만과 Fundy만 그룹 사이의 K2P 유전적 거리는 0.2%이며, 상응한 분화시간은 약 36만년 전이었다. 이로부터, 최후최대 빙하기 및 간빙기(Interglacial)이 갱신은 Palmaria palmata 개체군 구조 및 그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고기후 환경인자라는 것을 추측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