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Butylated Hydroxytoluene(BHT) on the Liver Excretory Function in Rat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oe, S.Y.,Yang, K.H.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81-01-01
초록 식품의 산화방지제로 널리 쓰이고 있는 BHT(butylated hydroxytoluene)가 간의 배설기능에미치는 영향을 혈관에 주입시킨 BSP (sulfobromophthalein), 와베인 (ouabain)의 담즙을 통한 배설량을 조사하여 연구하였다. 백쥐(rat)에 일정기간 (2,4 또는 10일)동안 여러용량의 BHT를 섞은 사료를 먹이고 나서 백쥐를 마취시킨 후 총담관, 대퇴부동맥과 정맥에 폴리에틸렌관을 연결시킨후 약물을 정맥으로 주입시켜 한시간 동안 혈액내의 농도와 담즙에 배설된 량을 단계적으로 조사하였다. BHT의 처리는 혈액내에 농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냄과 동시에 담즙으로 배설된 BSP 양을 현격히 증가시켰다. 이 영향은 0.1% BHT를 2일 동안 먹인 동물에서도 나타났으며 특히 처음 20분 동안에 배설량이 크게 증가시켰는데 이는 이 물질의 간에서 대사작용을 촉진시킨 것이 아니고 단순한 배설과정의 촉진현상으로 밝혀졌다. TBHT의 처리가 와베인의 배설작용에 주는 영향은 BSP와 PAEB와는 달리 미약하였다. BHT의 처리는 또한 매분당 배설되는 담즙의 량과 간의 무게도 크게 증가시켰다. 이들 결과는 항산화제안 BHT가 외부물질의 간을 통한 담즙으로의 배설을 크게 증가시키며 이 효과는 물질들이 혈액에서 간으로 유입단계나 간 속에서의 대사단계에는 영향이 없고 간에서 담즙으로의 분비단계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제시하며 담즙량을 증가 시키는 것과 동일한 원인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13475518950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