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solation of Isocitrate Lyase from Malonate-Grown Pseudomonas fluorescens ATCC 11250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ang, Sei-Heon,Kim, Yu-Sam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82-01-01
초록 Ps. fluorescens을 malonate가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glyoxylate cycle의 주 효소인 isocitrate lyase가 유도되었다. malonyl-CoA decarboxylase가 같은 조건에서 유도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malonate는 다음과 같은 경로를 따라 대사가 이루어 진다고 간주된다. malonate ${ rightarrow}$ malonyl-CoA ${ rightarrow}$ acetyl-CoA ${ rightarrow}$ glyoxylate cycle. malonate 대사 과정에서 유도된 isocitrate lyase을 황산암모니움에 의한 분별 침전, Sephadex G-200, DEAE-cellulose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하여 약 30배 정제 하였고, 이때의 효소 회수율은 약 24%이었다. 이와 같이 얻은 isocitrate lyase를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 영동한 결과 2개의 띠를 나타냈으며, 그 중 하나의 띠에만 효소의 활성이 검출되었다. Sephadex G-200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측정된 이 효소의 분자의 크기는 155,000 dalton이었다. 이 효소의 최적 pH는 7.5이었다. 기질인 isocitrate에 대하여 반응속도를 측정한 결과 Michaelis-Menten 반응속도론에 부합하였으며, 이때의 Km 및 Vmax는 각각 0.27 mM과 4.14 ${ mu}$ moles/min/mg이었다. 효소 활성이 SH 저해물질인 p-chloromercuric phenylsulfonic acid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따라서 효소 활성 부위 또는 그 근처에 SH기 가 있음을 의미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23475518076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