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2009-2014년 제주지역 강수의 이온조성 및 오염특성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technology
ISSN 1225-016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부준오,송정민,신수현,김원형,강창희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6-01-01
초록 2009~2014년에 제주지역의 강수시료(n=284)를 채취하여 주요 이온 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 정확도 확인을 위해 이온수지, 전기전도도, 산분율 비교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들의 상관계수는 0.927~0.983의 범위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강수의 부피가중평균 pH 4.9, 전기전도도는 22.7 #xB5;S/cm, 이온세기는 0.27 #xB1;0.38 mM로 시료 중 약 35.9 %가 순수한 빗물 수준을 보였다. 강수 이온성분의 부피가중 평균농도( #xB5;eq/L)는 Na + #x3E; Cl #x2212; #x3E; nss-SO 4 2 #x2212; #x3E; NO 3 #x2212; #x3E; NH 4 + #x3E; Mg 2+ #x3E; H + #x3E; nss-Ca 2+ #x3E; PO 4 3 #x2212; #x3E; K + #x3E; HCOO #x2212; #x3E; CH 3 COO #x2212; #x3E; NO 2 #x2212; #x3E; F #x2212; #x3E; HCO 3 #x2212; #x3E; CH 3 SO 3 #x2212; 순이었다. 강수의 산성화 기여율은 황산과 질산의 기여율이 각각 54.5 %, 36.5 %인 반면에 유기산 음이온인 HCOO #x2212; 와 CH 3 COO #x2212; 의 기여율은 각각 4.8 %, 4.2 %를 나타내어 제주지역 강수의 산성화는 유기산보다는 주로 무기산에 의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화인자를 확인한 결과, NH 3 에 의한 중화인자는 33 %를 나타내었고 CaCO 3 에 의한 중화인자는 20 % 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136641140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recipitation,Jeju Island,acidification contribution,neutralization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