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단양쑥부쟁이에 함유된 Caffeoylquinic Acid의 HPLC 분석과 Peroxynitrite 소거효과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ISSN 1226-3591,2287-820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임상철,박희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6-01-01
초록 단양쑥부쟁이의 caffeoylquinic acid 성분을 HPLC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3,4-DQ, 3,5-DQ, 4,5-DQ, 5-CQ, 3-CQ 5종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 식물의 caffeoylquinic acid 총 함량은 26.73 #xB1; 0.26 #x338E;/g으로 건물중의 2.673 #xB1; 0.026%, MeOH 추출물 중 함량은 25.22 #xB1; 0.25%에 달하였다. 그리고 peroxynitrite를 소거하는 IC50 값은 5.16 #xB1; 0.15 #x338D;/ #x3396;로 나타났고,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L-penicillamine의 값은 0.89 #xB1; 0.22 #x338D;/ #x3396;였다. 그러므로, 단양쑥부쟁이는 caffeoylquinic acid 함량에 따르는 peroxynitrite 소거효과에 기인하여 비만, 당뇨, 심혈관질환, 동맥경화 등에 유효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136645957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ster altaicus,Compositae,Caffeoylquinic acid,Peroxynitrite,HP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