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얼룩메기(Channel catfish) 종묘를 7 mg/L의 말라카이트 그린(Malachite green)에 5분간 담근 후, 연못의 그물 가두리에서 양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얼룩메기 종묘의 각 조직 내 말라카이트 그린과 류코말라카이트 그린(Leucomalachite green)의 분포 법칙 및 제거 법칙을 연구하였다. HPLC-MS/MS(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을 이용하여 얼룩메기의 혈액, 근육, 피부, 간장, 신장 조직 내 말라카이트 그린과 류코말라카이트 그린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또 약물동태학(pharmacokinetics) 분석 소프트웨어 3p97을 이용하여 약물 농도-시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말라카이트 그린과 류코말라카이트 그린의 약물 농도-시간 곡선은 2구역 모델(two compartment model)에 부합되었으며, 시간에 따른 동역학 방정식은 각각 C 말라카이트 그린=683.063 e 0.248 t +11.176e 0.006 t -694.239e 0.333 t , C 대사물 류코말라카이트 그린=757.240 e 0.222 t +14.474 e 0.007 t ndash;771.714 e 0.382 t 였다. 혈액 내 말라카이트 그린과 류코말라카이트 그린의 Tpeak(Peak time)는 각각 3.480시간, 3.623시간, Cmax(Peak concentrations)는 각각 81.560, 159.619 ng/mL, Vd/F(distribution volume)는 각각 37.689, 21.125 L/kg, 분포상(distribution phases)의 1차 속도 상수 alpha;는 각각 0.248, 0.222/시간, 제거상(elimination phases)의 1차 속도 상수 beta;는 각각 0.006, 0.007/시간, 흡수 반감기(absorption half-life) alpha;는 각각 2.794시간, 3.124시간, 제거 반감기(elimination half-life) beta;는 각각 113.068, 105.841시간, 중심구역에서 주변구역으로 이동할 때의 1차 속도 상수 K12는 각각 0.020, 0.015/시간, 주변구역에서 중심구역으로 이동할 때의 1차 속도 상수 K21은 각각 0.159, 0.121/시간, AUC(areas under the curve)는 각각 2493.944, 3601.863 ng.h/mL였다. 근육, 피부, 간장, 신장 조직 내 말라카이트 그린과 류코말라카이트 그린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4개 조직 내 말라카이트 그린의 농도 수준은 피부 gt;근육 gt;신장 gt;간장 순이었다. 말라카이트 그린은 피부에 쉽게 축적되었으며, 잔류 시간도 가장 길었다. 말라카이트 그린에 대한 간장 조직의 대사 전환 기능으로 인하여, 간장 내 말라카이트 그린의 농도는 비교적 낮았다. 근육, 피부, 간장, 신장 조직 내 말라카이트 그린의 제거 방정식은 각각 C=5.570 e 0.009t , C=6.302 e 0.007t , C=4.791 e 0.006t , C=4.591 e 0.002t 였으며, 상관계수 r 2 ge;0.773였으며, 근육, 피부, 간장, 신장에서의 제거 반감기 T 1/2 는 각각 3.2, 4.1, 4.8, 14.4일 이었다. 45, 60, 30, 60일에 근육, 피부, 간장, 신장 조직에서 말라카이트 그린을 검출할 수 없었다. 4개 조직 내 류코말라카이트 그린의 농도 수준은 간장 gt;피부 gt;근육 gt;신장 순이었으며, 피부에서의 잔류 시간이 가장 길었다. 근육, 피부, 간장, 신장 조직 내 류코말라카이트 그린의 제거 방정식은 각각 C=6.491 e 0.004t , C=6.958 e 0.003t , C=6.722 e 0.007t , C=6.162 e 0.002t 였으며, 상관계수 r 2 ge;0.673였으며 근육, 피부, 간장, 신장에서의 제거 반감기 T 1/2 는 각각 7.2, 9.6, 4.1, 14.4일 이었다. 90, 90, 60, 90d에 근육, 피부, 간장, 신장 조직에서 류코말라카이트 그린을 검출할 수 없었다. 실험기간(2011년 5월 17일부터 7월 15일까지)의 평균 수온은 26.4℃였으며, 90일 후, 각 조직에서 말라카이트 그린과 류코말라카이트 그린을 검출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7 mg/L의 말라카이트 그린(Malachite green)에 담근 얼룩메기 종묘의 말라카이트 그린과 류코말라카이트 그린은 2376℃.d을 거친 후 제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