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phological Study of Fruit, Seed and Seedling Development of Ottelia alismoides (Hydrocharitaceae)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
ISSN | 1000-4025, |
ISBN |
저자(한글) | Ru, Jian,Liu, Mei,Wang, Chen,Liang, Li,Li, Binshe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형태학적 관찰과 GMA 절편법을 결합하여 물질경이 과실, 종자와 종묘 발육의 형태학적 구조에 대하여 해부학적 관찰 및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물질경이의 개체 발육 과정에 나타난 수생환경에 적응하는 물질경이의 구조 특징을 토의하였다. 그 결과, (1) 물질경이는 불염포(spathe)에 둘러싸인 과실로써 보통 6개의 심피(carpel)로 이루어졌으며 심피 가장자리는 불완전하게 유합(agglutination)되었으며 박막 태좌(laminal placentation)를 보였다. 수면에서 형성된 어린 과실은 열매 꼭지에 의하여 물 속으로 들어가 발육하고 성숙되는데 그 종자에는 털이 있었고 발아할 때 뿌리끝에서 발육하고 배근에서 분화하기 전 먼저 단세포인 하배축 털이 생기며 따라서 초생근으로 발육하는데 본엽(true leaf)의 마디에서 부정근(adventitious root)을 발육한다. 과피와 잎몸 내의 관다발(vascular bundle)은 소수의 세포로 구성되었고 세포 분화가 뚜렷하지 않았으며 발달한 파리크노스(parichnos)를 가졌다. 잎 외피는 각질층이 없었고 세포가 돌출되었으며 잎몸 세포의 양이 적은데 이는 물질경이의 구조 특성이 수생환경과 서로 적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2) 또 연구를 거쳐, 물질경이의 종자는 배유가 없다는 것, 하배축에는 종묘가 발육할 수 있는 다량의 전분립(starch granule)이 존재한다는 것, 초생근과 부정근은 모두 털을 가진 구조라는 것과 Alismaceae과의 자고(Sagittaria sagittifolia L.) 및 라스핀(rhizoma alismatis)과의 구조가 같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자라풀과와 Alismaceae과가 비교적 가까운 친족관계(kinship)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35749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Ottelia alismoides,fruit,seed,seedling development,anatomy,Hydrocharitaceae,물질경이,과실,종자,종묘 발육,해부학,자라풀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