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목적] 본 논문은 강소성 전장(Zhenjiang)시 흰개미의 종분포, 피해 상황과 방제 조치에 대한 확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법] 본 논문은 전장시 인구밀도와 원림 녹화 분포 특징에 근거하여, 전체 지역을 상업 및 주거 지역, 산업 단지, 원림구 3개 주요한 생태지역으로 나누었다. 2012-2013년, 2년 동안의 조사와 데이터 수집을 통하여, 각 생태지역에서 총 185건의 흰개미 샘플을 수집하였다. 기존의 흰개미 형태학 분류와 현대 분자생물학 기술을 결합하여 전장시 흰개미 주요 유해 종류에 대해 식별하고 확인하였다. 흰개미가 주는 피해 정도의 다양화에 근거하여, 전장시 서로 다른 생태지역을 개미 피해가 가장 심각한 지역, 비교적 심각한 지역, 일반 지역으로 나누었으며, 이로써 전장시 흰개미 분포 피해 특징을 확정하였다. [결과] 전장시 주요 흰개미 종류는 2과 4속인 총 7종 흰개미로 확정되었으며, 각각 Odontotermes formosanus Shiraki, Macrotermes barneyi Light, 집흰개미(Coptotermes formosanus Shiraki), Reticulitermes chinensis Snyder, Reticulitermes aculabialis Tasiet Hwang, Reticulitermes Labralis Hsia et Fan, Reticulitermes flaviceps Oshima이었다. 전장시 주요 흰개미 종류 피해 발생 공간의 생태 분포 정황에 의하면, 전장시의 흰개미 피해는 범위가 넓고, 각 지역에 모두 서로 다른 정도로 발생하며, 그중 도시 중심지역에 흰개미 분포가 가장 밀집되었다. Reticulitermes chinensis Snyder 피해는 각 생태지역에 모두 평균적으로 분포되었으며, 그 분포범위가 가장 넓다. 3개 서로 다른 생태지역 중, 개미 피해가 가장 심각한 지역은 모두 상업 및 거주지역에 집중되었으며, Reticulitermes 피해가 비교적 컸다. 원림구는 흰개미 피해가 비교적 심한 지역이며, Odontotermes formosanus Shiraki 피해가 비교적 크다. 산업 단지는 흰매기 피해가 일반적인 지역이며, Reticulitermes와 Odontotermes formosanus Shiraki 피해 정도가 기본적으로 비슷하다. 전장시에서 최근 5년간 주요 흰개미 개체군 및 개미 피해 발생 시간에 의하면, 전장 지역의 흰개미 피해는 매년 매달 모두 발생하였고, 그 피해 최고봉 시기는 주요하게 4-6월에 집중되었으며 5월에 최고값을 나타냈다. [결론] 시스템 연구와 조사를 통하여, 전장시의 흰개미 종류 및 주요 흰개미 개체군의 생태 분포 지역을 파악하였으며, 전장 지역 흰개미 발생의 시간 법칙, 지역 분포 특성 및 그 피해 정도를 확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논문은 전장시 지역의 목재 섭식 흰개미에 대한 종합적 방제 조치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흰개미 방제작업에 대해 더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소중한 원림 수종 및 고전 건축을 보호하여, 중국 흰개미 방제와 관리 수준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과학적 근거 및 그에 따른 방제 조치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