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중국내 한류 컨텐츠 소비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한류의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 되었던 국제성, 근접성, 현대성이 어떻게 중국내 한류 소비 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한국 TV프로그램 (드라마, 버라이어티 쇼 등) 소비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국제성 및 근접성은 한류 소비 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현대성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국제적 가치관을 보일수록, 중국과 한국의 근접성이 높다고 생각할수록, 전통적인 가치관을 지닐수록 한류를 소비하고자 하는 동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한류 소비 동기는 실질적인 한국 TV프로그램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된 연구 모델에서, 근접성, 그 다음으로 국제성이 한류 소비 동기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내 한류 현상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근접성이 가장 타당한 이론적 접근임을 시사한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한류 소비 동기의 관계에서, 남성보다는 여성이, 가족 수입이 높을수록,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한류 소비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