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imulated Microgravity Regulates Osteoblast BMP2-Smad Signaling via Actin Microfilament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物理學報 = Acta biophysica sinica
ISSN 1000-673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U, Hong-jie,DAI, Zhong-quan,WU, Feng,ZHANG, Hong-yu,YANG, Chao,SHANG, Peng,LI, Ying-hu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세포 미세섬유(microfilament) 구조는 역학 신호 전달(mechanotransduction) 및 유전자 발현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한다. 미세섬유 구조의 모의 극미 중력(simulated microgravity) 효과 조건에서 조골세포(osteoblast) BMP2-Smad 신호에 대한 조절 작용을 연구하기 위해 저자는 Smad의 활성을 반영할 수 있는 리포터 유전자(reporter gene) 벡터를 구축하여 MC3T3-E1 세포를 형질전환시켰으며, 또한 리포터 유전자 활성 분석,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등 방법을 통하여 미세섬유 중합 억제제(depolymerizing agent) 및 회전 모의 극미 중력 조건 효과가 BMP2 유도 Samd의 인산화(phosphorylation), 준세포 분포(subcellular location) 및 전사 활성(transcriptional activity)에 대한 작용을 검사하였다. 연구 결과, 구축한 리포터 유전자 벡터는 조골세포에서 정확하게 발현될 수 있었고 또한 BMP2와 반응할 수 있었으며, 미세섬유 구조를 파괴시키는 조건에서 BMP2가 유도하는 Smad1/5/8 단백질의 인산화, 세포핵 진입(nucleus translocation) 및 전사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회전 모의 극미 중력 효과는 Smad1/5/8의 인산화, 세포핵 진입 및 전사 활성을 억제시켰지만 미세섬유 구조 안정제(stabilizer)는 회전 효과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회전 모의 극미 중력 효과는 미세섬유 구조 중합을 억제시키는 것을 통하여 BMP2-Smad의 신호 전달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4996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imulated microgravity,Actin microfilament,Smad,MC3T3-E1,BMP2,모의 극미 중력 효과,미세섬유 구조,Smad,MC3T3-E1,BMP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