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coustic Subbottom Profile and Their Interpretations in the Jinzhou Bay of the Bohai S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科學進展= Advances in marine science
ISSN 1671-664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Fang-qi,HU, Guang-hai,WU, Yong-ting,QI, Fa-qing,YANG, Long,DONG, Li-feng,TAO, Chang-f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발해 진저우만(Jinzhou Bay) 해역에 음향 천부지층 단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였으며 8개의 연속적인 강한 음향반사면을 식별하고 6개의 음향 층서를 구분하였다. 완신세(Holocene) 천해 층서 A(Holocene neritic sequence A), 완신세 연안 층서 B(Holocene littoral sequence B), 후기 갱신세(Late Pleistocene) 말기 육지 층서 C, 후기 갱신세 연안 층서 D, 후기 갱신세 육해 교호 층서 E(Late Pleistocene marine continental interbedded sequence E) 및 시니아계(sinian system) 기반암 F 등이 포함된다. 지질공학 기술로 천공한 퇴적 지층 암성과 비교한 결과, 음향 천부지층 단면에 따라 진행한 지층 구분과 암심을 뚫는 지질학적 지층 구분은 잘 대응되며 이로써 여러 음향 지층의 아질 및 퇴적 환경을 추정하고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후기 갱신세에 진저우만 지역의 퇴적 과정과 환경 변화를 연구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15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ubbottom profile,depositional sequence,since the Late Pleistocene,Jinzhou Bay Bohai Sea,천부지층 단면,퇴적층서,후기 갱신세,보하이 진저우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