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 PRELIMINARY STUDY OF PROTORYCTOCEPHALUS CHOW(ZHOU) IN LU ETAL., 1974B FROM THE CAMBRIAN ''TSINGHSUTUNG FORMATION'' OF GUIZHOU, 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古生物學報= Acta palaeontologica Sinica
ISSN 0001-661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UO, Xiu-chun,ZHAO, Yuan-long,PENG, Jin,YANG, Yu-ning,PAN, Yong-j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Protoryctocephalus Chow(Zhou)in Lu et al., 1974b는 저우즈이(Zhou Zhi-yi)가 구이저우 단자이현 난가오촌(Nangao,Danzhai, Guizhou Province)의 캄브리아기(Cambrian) 우쉰 층(Wuxun Formation)의 표본에 근거하여 명명하였고 현재까지 총 4개 종, rotoryctocephalus wuxunensis, P. balangensis, P. elongatus, P. arcticus가 있다. 구이저우성(Guizhou Province) 젠허현(Jianhe County) 바량촌(Balang village) '칭쉬퉁 층'(Tsinghsutung Formation)에서 발견된 2개 종은 P. elongatus 및 P. arcticus이다. P. elongatus는 '칭쉬퉁 층' 상부에서 최초로 나타났고 위로 카이리 층의(Kaili Formation) 하부까지 확장되었다. P.arcticus는 그린란드(Greenland) 북부의 Peary Land라 불리는 Henson Gletscher 층 중부의 캄브리아기 제5단계 Oryctocephalus indicus 층서 밑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이는 그린란드 북부 Peary Land의 Henson Gletscher 층과 카이리 층 하부 및 '칭쉬퉁 층' 상부의 지층을 비교하여 화석의 근거를 제공하고, 캄브리아기 제5단계 지층과 비교하는데 도움이 된다. 바랑촌 '칭쉬퉁 층'의 P. elongatus 및 P. arcticus의 발견은 진화 및 국제적 지층과 비교함에 있어 의의를 가지고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32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rotoryctocephalus,''Tsinghsutung Formation'',Cambrian,International Stratigraphic Correlation,Greenland,Guizhou Province,Protoryctocephalus,''칭쉬퉁 층'',캄브리아기,지층 비교,그린란드,중국 구이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