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OBSERVATIONS ON THE TRILOBITE GENUS MEGAPALAEOLENU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古生物學報= Acta palaeontologica Sinica |
ISSN | 0001-6616, |
ISBN |
저자(한글) | LUO, Hui-lin,HU, Shi-xue,CHEN, Qing-tao,ZHAN, Dong-qin,LU, Yu-x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장원탕(1966)이 Palaeolenus deprati Mansuy,1912를 모델 생물종으로 사용하여 구축한 Megapalaeolenus Chang,1966은 창랑푸 단계(Canglangpuan Stage) 상부의 삼엽충 화석대로 광범위하게 이용되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Palaeolenus deprati Mansuy,1912는 P.douvillei Mansuy,1912의 후기 별명이라는 견해가 나타나면서 Megapalaeolenus속은 근거없는 이름으로 여겨졌다. 본 논문은 윈난 쿤밍 가오러우팡(Gaoloufang) 하부 캄브리아계(late Canglangpuan) 우룽칭층(Wulongqing Formation) 상부 Megapalaeolenus deprati(Mansuy)의 새로운 재료를 근거로 이용하였고, Mansuy(1912)의 모델 표본과 결합하여 Palaeolenus deprati Mansuy와 P.douvillei Mansuy를 한층 더 자세하게 비교하였다. 비교를 통해 둘은 동일한 종이 아니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Megapalaeolenus Chang,1966속은 성립된다고 판정하였다. 지층 분포에 근거하여 Palaeolenus와 Megapalaeolenus 두개 삼엽충 속을 중국 하부 캄브리아계 연대 층서단위(stratigraphic unit) 창랑푸 단계 상부의 두개 화석대로 여전히 이용할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51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Trilobites,Megapalaeolenus,Canglangpuan,Lower Cambrian,Kunming,Yunnan,삼엽충,Megapalaeolenus속,창랑푸 단계,하부 캄브리아계,쿤밍,윈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