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LATE CHANGHSINGIAN(PERMIAN) MICROBIAL MOUNDS IN THE NORTHEASTERN SICHUAN: A SIGN OF THE MASS EXTINCTION EVENT?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體古生物學報 = Acta micropalaeontologica Sinica
ISSN 1000-067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Ting-shan,YANG, Wei,WU, Kun-y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선 부근의 미생물 암석(microbial rock)은 생태환경 전환기의 해양 환경을 연구하는 중요한 소재이다. 하지만 기존에 발견한 사례는 현생이언(Phanerozoic Eon) 최대 멸종 사건의 경계선 위에 존재하였고, 멸종 경계선 아래에 미생물 암석이 존재한다는 보고는 없었다. 쓰촨(Sichuan) 동북부 지역 창싱(Changxing)층 상부에서 골격암(skeletal reefs) 층서 위 미생물 융기(microbial mounds)가 발달하였는데, 이중 젠산(Jianshan) 미생물 융기가 가장 전형적이었고 3개 성장 사이클이 존재하였다. 미생물 융기 지층에 함유된 코노돈트(conodonts), 방추충(fusulinids), 유공충에 근거하여 그 시대를 창싱 말기로 확정하였다. 또한 대멸종 경계선 아래에 위치하였고 그 정상부는 Hindeodus parvus 지대(zone)와 7.5m 떨어졌다. 탄소 동위원소 및 미량원소 분석 결과, 후기 페름기 말기부터 이미 해양 생태환경 조건의 삽화적(episodic) 불안정성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지속적으로 발전하였으며 다단계적 특성의 생물 위기를 초래하였다. 쓰촨 동북부의 후기 페름기 미생물 융기는 중요 지질 전환기를 앞둔 생물 및 환경의 상호작용 관계를 기록하고 구현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81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icrobial mounds,paleooceanographic features,eco-crisis,Late Permian,northeastern Sichuan,미생물 융기,고해양 특성,생태위기,후기 페름기,쓰촨 동북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