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tudies on the Active site of the lt;TEX gt;${ gamma}-Aminobutyraldehyde$ lt;/TEX gt; Dehydrogenas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ee, Jong-Eun,Cho, Young-D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3-01-01
초록 소의 뇌(bovine brain)로부터 ${ gamma}-Aminobutyraldehyde$ dehydrogenase를 순수하게 정제하였다. 아미노산의 조성과 C.D. spectrum을 통해 효소의 이차구조를 분석한 결과, 소의 뇌 ${ gamma}-Aminobutyraldehyde$ dehydrogenase는 7%의 ${ alpha}-helix$ , 64%의 ${ beta}-strand$ 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아미노산의 조성에 있어서는 glicine과 proline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 gamma}-Aminobutyr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부위에 관여하는 아미노산을 조사하기 위하여, 효소를 chemical modification reagents인 NEM, DTNB, PLP, DEP 및 PMSF와 반응시킨 후 효소활성의 감소를 관찰하였다. 정제한 효소에 NEM, DTNB, DEP, PLP를 처리하였을 경우, 효소활성이 매우 심하게 감소하였고, PMSF에 의해서는 약간 효소활성이 감소되었다. NEM, DTNB, DEP, PLP에 의한 효소활성의 감소는 기절에 의해 90% 이상 보호되었다. Chemical modification 결과와 C.D. spectra 분석결과, ${ gamma}-Aminobutyr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부위에는 cystein과 lysine 그리고 histidine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cystein과 lysine에 대한 반응상수를 계산한 결과, 하나의 cystein기와 하나의 lysine기가 효소활성에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33475518300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