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소의 간 미크로좀 분획으로부터 aldehyde dehydrogenase[ALDH, EC 1.2.1.3]를 sodium deoxycholate 처리, DEAE-Sephacel, Blue Sepharose CL-6B, 그리고 5'-AMP Sepharose 4B affinity 등의 column chromatography 방법으로 186배 정제하였다. Sephacryl S-200 gel filtration 방법으로 측정된 이 효소의 분자량은 293.9KDa이었고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법을 수행한 결과 subunit 분자량이 54.9KDa인 homotetramer임이 판명되었다. 최적 pH 범위는 9.0~9.5로 비교적 넓었으며 $25^{ circ}C$ 에서는 안정하지만 $37^{ circ}C$ 에서 10분간 방치하면 효소활성이 44% 감소되었다. 탄소수가 짧은 aliphatic aldehydes나 aromatic aldehyde에 대한 $K_m$ 값은 $10^{-3}$ M 수준이었으나 탄소수가 긴 aliphatic aldehyde( $C_7{ sim}C_9$ )에 대한 $K_m$ 값은 $10^{-6}$ M 수준으로 아주 낮은 것으로 보아 미크로좀 ALDH가 미크로좀 막에서 lipid peroxidation과정에서 생성되는 fatty aldehydes의 산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효소는 nonanal을 기질로 사용했을 경우에만 속도-기질농도 곡선이 sigmoidal saturation curve를 보였고 modified Lineweaver-Burk Plot과 Hill Plot을 행한 결과 결합자리수가 4임이 밝혀졌다. Nonanal의 $[S]_{0.5}$ 는 $18.9{ times}10^{-6}M$ 이었고 nonanal의 농도가 증가하면 효소활성이 크게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 효소의 활성 부위의 아미노산 잔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sulfhydryl기에 특이하게 반응하는 NEM, DNTB를 처리했을 때는 효소의 활성이 부분적으로 억제되었으나 hydroxyl기에 특이하게 반응하는 PMSF를 처리했을 경우 효소활성의 억제 정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보아 효소활성 부위에 sulfhydryl기가 존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ALDH에 대한 inhibitor로 알려진 disulfiram에 대해서도 매우 민감하게 저해되지만 0.2mM의 높은 disulfiram 농도에서도 26%의 효소활성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disulfiram 작용 부위와 효소활성 부위는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