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sulfonamides and sulfonamide-resistant Escherichia coli in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of northern Yellow Sea, China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
ISSN | 1006-687x, |
ISBN |
저자(한글) | ZHANG, Wan-ru,NA, Guang-shui,LU, Zi-hao,GAO, Hui,LI, Rui-jing,WU, Xian,ZU, Guo-ren,YAO, Zi-we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병원균의 약제 내성 증가 및 확산은 현재 세계의 공공안전 문제로 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중국 황해 북부(northern Yellow Sea) 연안 해역의 하수구, 해수 양식지역, 해수욕장에서 수질 견본(sample)과 퇴적물 견본을 채집한 다음 HPLC-MS/MS 방법을 사용하여 수질 견본에 존재하는 14종 설폰아미드계(SAs) 항생제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이와 동시에 EPA 방법(Method 1604)을 사용하여 물과 퇴적물 중의 Escherichia coli(E.coli) 및 설폰아미드 내성 E.coli(Re-E.coli)의 총 수량을 측정하였고 E.coli의 설폰아미드 내성 수준을 계산하였다. 나아가 연구 지역 수체 중 E.coli 설폰아미드 내성율(resistant rate)과 설폰아미드계 항생제 농도 사이의 상관성을 연구하였고 E.coli 설폰아미드 내성 균주의 분포 특성 및 래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황해 북부 연안 해역 수체 중 항생제 검출 농도에 큰 차이성이 존재하였다. 설폰아미드 농도는 ND~584.32ng/L 범위에 있었고 E.coli 및 Re-E.coli의 100mL 당 총 수량은 각각 27×10 4 ~5.5×10 4 개와 8×10 4 ~1.6×10 4 개 범위에 있었으며 그람당 퇴적물에 각각 0~1,363개와 0~320개 존재하였다. E.coli 설폰아미드 내성율은 18.18%~66.91% 범위에 있었다. 연구를 통해 E.coli 설폰아미드 내성율과 설폰아미드계 항생제 농도 사이에 뚜렷한 상관성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P=0.846). 이는 환경에 잔류해 있는 항생제는 내성 미생물의 발생을 유도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E.coli 및 Re-E.coli 분포 그리고 내성 수준으로부터 내성 유전자 사이에 수평적 전이가 존재하며 주로 어업 양식에서 유래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68947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northern Yellow Sea,sulfonamide,resistant strains,resistance level,중국 황해 북부,설폰아미드계 항생제,내성 균주,내성 수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