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etection of Bartonella bacilliformis by real-time PCR with TaqMan-MGB prob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ISSN 0253-26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Dong-mei,LIU, Yun-yan,DU, Peng-cheng,SONG, Xiu-ping,LIU, Qi-y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목적] TaqMan 탐침(probe) 실시간 형광 정량 PCR(real-time fluorescence quantitative PCR) 기술을 응용하여 특이성(specificity)이 강하고, 민감성(sensitivity)이 높으며 안정성(stability)이 좋은 바르토넬라 바실리포르미스(B. bacilliformis, Bartonella bacilliformis) 쾌속 검측 방법을 구축하였다. [방법] 생물 정보학(Bioinformatics) 방법을 응용하여 B. bacilliformis의 특정 유전자(specific gene)를 찾고 1단락의 특정 유전자 서열을 선별하여 템플릿(template) 설계의 탐침과 프라이머(primer)로 하였다. C t 값과 형광 강도를 비교하여 반응을 증폭하는 최적 어닐링 온도(Annealing temperature), 탐침 및 프라이머 농도를 확정하였다. 증폭 산물(Amplification products)을 pEASY-T 벡터(vector)에 연결하여 표준물질을 제조하고 표준 곡선을 제작하였으며, 증폭 효율과 선형 관계(linear relationship)를 분석하였다. 또한, 해당 방법의 특이성, 민감성 및 반복성(repeatability)을 평가하였다. [결과] 최적화를 진행한 어닐링 온도는 60°C이고 탐침 및 프라이머 농도는 모두 200nmol/L이며 반응 체적(reaction system)은 20μL이다. 특이성 실험 결과, B. bacilliformis는 형광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다른 종속의 세균은 모두 형광 신호를 보이지 않는다. 표준 곡선 선형 관계(R 2 = 1)는 양호하고 증폭 효율은 E=98.18%이며 최저 검출 한계는 각 PCR당 3개 복제/μL이고 조합 내부 및 조합 사이 변이 계수(variation coefficient) CV 값은 각각 0.21%-0.42%와 0.29%-0.59%이며 허용 가능한 범위에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구축한 실시간 형광 정량 TaqMan-MGB 탐침 방법은 특이성이 강하고 민감성이 높으며 안정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B. bacilliformis을 신속하게 검측하고 검증할 수 있으며, B. bacilliformis로 인한 일련의 질병(disease)의 빠른 조기 진단(early diagnosis), 검측과 유행병학(epidemiology) 조사 등 연구에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49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artonella bacilliformis,Carrion's disease,Real-time fluorescence quantitative PCR,TaqMan probe,Bioinformatics,바르토넬라 바실리포르미스,Carrion's 질병,실시간 형광 정량 PCR,TaqMan 탐침,생물 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