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미생물을 활용한 음식물쓰레기의 악취저감 효과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ISSN | 1225-5025, |
ISBN |
저자(한글) | 김하나,임봉빈,김선태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6-01-01 |
초록 | 음식물쓰레기 부패과정에서 발생되는 대표적인 S계(황화수소( $H_2S$ ), 메틸멜캅탄( $CH_3SH$ )), N계(암모니아( $NH_3$ ), trimethyl amine) 악취물질과 복합악취를 경과시간에 따라 측정하고,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 EM) 사용에 따른 악취 저감효과의 평가 및 EM제의 미생물상 및 세균수의 변화와 악취물질 농도 저감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N 계열에 비하여 S계 악취물질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S계 악취물질과 복합악취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EM제를 사용한 실험군에서 발생농도가 낮게 나타나 EM제의 도포에 의한 악취 저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세트알데히드( $CH_3CHO$ )의 경우 EM제 도포 후 경과시간이 증가할수록 발생농도는 감소되지 않았다. EM제와 음식물쓰레기 부패시 발생하는 침출수의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유산균 군집으로 확인되었으며, EM제 원액과 실험군에서 발생한 침출수의 미생물 군집이 다르게 나타났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5952963566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유용미생물,음식물쓰레기,악취물질,검지관,공기희석관능법,Effective Microorganism,Food Wastes,Odorous Substance,Detector Tube,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