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ethanogenic archaea and their mediated methanogenic pathways in cold wetland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ISSN 0253-26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ANG, Na,CHEN, Zi-Juan,CAO, Yi,TIAN, Jian-Qing,WANG, Yan-Fen,DONG, Xiu-Zh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저온 습지는 온실가스 메탄의 중요 생산지인데, 습지토양에 메탄생성 고세균을 포함한 대량의 미생물이 서식하면서 유기물을 메탄으로 전환시키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저온 습지 메탄생성 고세균군락의 구성, 메탄생성 경로 및 주위환경과의 관계에 대해 총괄적으로 서술하였다. 연구결과, 아세트산(CH 3 COOH)이 저온 습지의 주요 메탄생성 물질이었고, 메탄생성 과정은 주로 중간온도 지역 또는 산성 이탄토(peat soil)에서 이루어졌으며, 알칼리염 수역에서 메탄올(Methanol)과 메틸아민(methylamine)이 메탄의 중요 기질(substrate)로 작용하였다. 티벳고원에 위치한 Zoige(ruoergai) 습지는 고해발 및 저위도의 지리적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메탄올이 같은 습지의 메탄 방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 습지의 메탄생성 고세균은 주로 메틸류의 화합물/아세트산의 메타노사르시나(Methanosarcina) 균과 수소영양형의 마이크로코쿠스균(Methan Micrococcus) 균을 이용한다. 서로 다른 습지의 메탄방출 경로와 메탄생성 고세균의 차이는 주로 토양의 유형, PH치 및 식생의 유형에 관계된다. 예를 들어 마름(Setose water chestnut)이 생장하는 Zoige(ruoergai) 습지토양 중 메탄올에서 온 메탄이 전부 메탄의 17%를 차지하고, 사초(Carex muliensis)가 생장하는 토양에서는 아세트산이 메탄생성의 주요 전구물질(precursor)로 작용한다. 메탄생성 고세균이 저온 습지의 메탄방출에 중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지만, 현재 기준 배양에 성공한 낮은 온도에서 적응하는 메탄생성(cultured cold-adaptive methanogenic) 고세균은 아주 적다. 저온 반응의 유전체학 분석결과, 메탄생성 고세균의 저온 적응성은 전체 생물학 과정과 연관이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1962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Zoige wetland,Methanogenic archaea,Methangenic pathways,Zoige(ruoergai) 습지,메탄생성 고세균,메탄생성 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