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epar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the Promoter of PpAGO7 Gene from Physcomitrella pate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AO, Yun-tong,PAN, Shen-yuan,WANG, Ai-m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AGO7 단백질은 여러 가지 식물에서 발견되었으며, 엽편 생장 발육 과정에서 작용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고등식물 중 가장 오래되고 유일하게 관다발이 없는 선태식물에선 보고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BLAST 비교를 통하여 논벼 OsAGO7 유전자가 코딩한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Physcomitrella patens AGO7 단백질 코딩 유전자 PpAGO7을 얻었으며, PpAGO7 유전자 개시코돈(initiation codon) 상류의 프로모터 서열을 증폭하였다. 온라인 소프트웨어 PlantCARE와 PLACE를 이용하여 해당 프로모터의 구조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모터 분석 벡터 pPpAGO7-GUS를 구축하여 애기장대로 전환시켰으며, 형질전환 유전자 애기장대 GUS 염색 결과를 통하여 pPpAGO7 프로모터의 작동 특성을 분석하고 추측하였다. 분석 결과, (1) PpAGO7 유전자 프로모터 서열은 대량의 광반응과 관련된 시스 작용 요소 및 여러 개 분열조직과 방어 및 스트레스 관련의 작용 요소를 포함하였다. (2) T 2 대 형질전환 유전자 애기장대의 GUS 염색 결과, PpAGO7 유전자 프로모터는 애기장대의 서로 다른 부위와 서로 다른 생장시기에서 GUS의 발현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뿌리끝 부분, 엽편 정단, 수꽃술의 꽃밥, 암꽃술의 주두와 종자 등 부위에서 염색 효과는 기타 부위에 비해 더 짙었다. (3) 빛세기 1,000 lx와 4,000 lx에서 생장하는 형질전환 유전자 애기장대의 GUS 효소 활성은 빛세기 7,000 lx와 10,000 lx에 비해 낮았다. 결과적으로, 복제한 PpAGO7 유전자 프로모터는 지속적 작동 활성을 갖고 있으며, 생장이 왕성한 부위에서 작동 활성은 비교적 강하였다. 이외, 그 작동 활성은 또 빛 요소의 영향을 받았으며, Physcomitrella patens의 PpAGO7 유전자 기능을 한층 더 연구하는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30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hyscomitrella patens,PpAGO7,promoter,Physcomitrella patens,PpAGO7,프로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