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인테그린(integrin)은 세포 표면 수용체의 패밀리 분자이고 양방향 신호(bidirectional signaling)의 형질도입을 통해 세포와 세포외 기질, 세포와 세포 간 접착 및 세포의 전이 등 과정에 참여한다. 인테그린 αⅡbβ3(integrin αⅡbβ3, GPⅡb-Ⅲa)은 거핵세포(Megakaryocyte)/혈소판 시스템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된다. 또한 혈소판에서 함량이 가장 많은 막당단백질(Membrane glycoprotein)로써 혈소판의 접착, 확산, 응집 등을 매개한다. G 단백질은 인테그린 αⅡbβ3의 양방향 신호 형질도입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데 그중 비교적 주목을 받은 것이 2종 있다. 즉, 비상동 G 단백질과 작은 G 단백질 Rapl이 인테그린 αⅡbβ3의 내부로부터 외부까지 신호 형질도입에 참여하고; 작은 G 단백질(RhoA, Rac 등)과 G α13 이 인테그린 1Ib133의 외부로부터 내부까지 신호 형질도입에만 참여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단백질 구조와 기능 간 관계로부터 G 단백질의 구조, 분류, 기능 및 최근 몇 년래 인테그린 αⅡbβ3 양방향 신호 형질도입에서 G 단배질의 작용에 대한 연구 진전을 종합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