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태양풍 매개변수를 이용한 Dst 예측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space sciences
ISSN 1225-052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박윤경,안병호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9-01-01
초록 ACE 위성에서 제공되는 1998년에서 2006년까지 9년간 관측된 양질의 1시간 평균 태양풍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Burton et al.(1975)의 Dst 예측식을 재검토했다. 이 기간 동안 60개의 단순 발달형 자기폭풍을 골랐다. Burton et al.(1975)의 Dst 예측식의 에너지 공급항(Q)과 소멸 시간 ( $ tau$ )을 추정하기 위해 상기 자기폭풍 기간 동안 $Dst^*$ 와 $VS_s$ , ${ Delta}Dst^*$ 와 $VS_s$ 그리고 ${ Delta}Dst^*$ 와 $Dst^*$ 의 상관관계를 구했다. 이 때 ACE 위성으로부터 지구까지 전파 시간(1시간)과 태양풍과 지구 자기권 사이의 지연 시간(0.5시간) 고려했다. 그 결과 $VB_s$ gt; 0.5mV/m일 때 $Q(nT/h)=-3.56VB_s$ 이였고, $VB_s ;{ leq} ;0.5mV/m$ 일 때는 Q(nT/h)=0으로 두었다(Burton et al., 1975) 그리고 $Dst^*$ 가 -175nT보다 작은 음의 값을 가질 때 $ tau(h) ;= ;0.060Dst^* ;+ ;16.65$ 이고, $Dst^*$ 가 -175nT보다 큰 음의 값을 가질 때 $ tau(h) ;= ;6.15$ 로 추정됐다. 이 연구에서 얻은 Q와 $ tau$ 를 Burton et al.(1975)의 Dst 예측식에 대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60개 자기폭풍을 예측한 결과, 관측된 $Dst^*$ 와 예측된 $Dst^*$ 의 상관계수는 0.88이였다. 이를 다른 연구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Burton et al.(1975)과 O'Brien McPherron(2000a)의 $Dst^*$ 예측 방법을 같은 자기폭풍에 적용한 결과, 관측된 $Dst^*$ 와 예측된 $Dst^*$ 의 상관계수는 각각 0.85였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보다 다소 개선된 결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Dst^* ;{ /TEX gt; atop sim} ;-200nT$ 의 강한 자기폭풍의 예측에 효과적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90885685817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agnetic storm,Dst index,solar wind,storm predi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