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밤나무 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ISSN 1738-724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정창호,허재연,심기환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2-01-01
초록 밤잎의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밤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총당 11.95%, 조지방 11.50%, 조섬유 10.11%, 조단백질 7.50% 및 회분이 1.79%순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Ca과 K으로 그 함량은 각각 215.7 mg%와 196.6 mg%로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은 12.5 mg%였으며, 유리당은 glucose 3.33%, fructose 0.25%, sucrose 0.022% 함유되어 있었다. 밤잎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로 그 함량은 36.86%로 나타났다. 밤나무 잎의 주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295.4 mg%), proline(285.7 mgg%), aspartic acid(245.5 mg%), arginine(240.8 mg%), phenylalanine(237.4 mg%) and leucine(230.6 mg%)로 나타났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48.3%이었다. 항산화 효과는 용매별 추출물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72.52%, 용매분획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84.12%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각종 용매별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메탄을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으며, 용매분획별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층에서 다른 분획보다 높게 나타났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21192117368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hestnut,mineral,sugar,amino acid,fatty acid,DPPH,antimicrobial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