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쇠뜨기(Equisetum arvense)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및 lt;TEX gt;${ alpha}-glucosidase$ lt;/TEX gt; 저해활성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ISSN 1738-220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곽가,김영선,한웅,심태흠,사재훈,왕명현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6-01-01
초록 쇠뜨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당뇨병에 대한 기능성 의약품 개발을 목적으로 쇠뜨기 가루의 화학성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이 53.20%로 탄수화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 밖에 조회분, 조단백질, 수분, 조지방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20.42%, 15.32%, 8.85%, 2.21%로 나타났다. 쇠뜨기 가루에 가장 많은 무기성분으로는 K, Ca등 2종류가 기타원소에 비해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이중 가장 많이 검출된 것은 K로 3768.12 mg/10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Ca은 1,130.44 mg/100 g로 나타났다. P, Mg, Na는 $180{ sim}110 ;mg/100g$ 이며, 가장 적은 양을 보인 것은 Zn이 2.19 mg/100 g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총 2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glucose가 13,351.88 mg/100 g, mannose는 1,616.31 mg/100 g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중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은 linolenic acid $(C_{18:3})$ 가 42.83%으로 나타났으며 linoleic acid $(C_{18:2})$ 23.60%, palmitic acid $(C_{16:0})$ 19.00%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이 25.57%로 불포화 지방산이 포화지방산에 비해 3 배정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DPPH 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쇠뜨기 추출물들의 항산화 활성은 70%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IC_{50})$ 이 $168.1 ;{ mu}g/ml$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70% methanol 추출물이 $187.8 ;{ mu}g/ml$ 으로 나타났으며, chloroform 추출물이 $194.2 ;{ mu}g/ml$ , methanol, 물, ethanol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 alpha}-Glucosidase$ 측정값은 70% methanol 추출물에서 82.05%의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60304305618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ntioxidative activity,chemical components,Equisetum arvense extracts, lt,TEX gt,$anti-{ alpha}-glucosidase$ lt,/TEX gt,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