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DU, Wei,JIANG, Ping,WANG, Yan-su,LV, Li-xin,WANG, Hong-wei,BU, Yuan-qing,LIU, Chang-hong,DAI, Chuan-chao |
초록 |
본 논문은 백강균 사용 후의 생태적 안정성을 고찰하기 위해 백강균 사용이 벼의 3가지 보호효소 활성 및 엽권 미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형광 정량 PCR을 이용하여 백강균 포자 현탁액(spore suspension)을 분사한 벼의 엽권에서 총 DNA를 추출하고 동시에 형광 정량 PCR 증폭하였으며 백강균이 벼의 엽권에 30d이나 잔류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초기 스프레이(spraying) 농도가 클수록 감쇠율이 더 높다. 화학농약 사용보다 백강균을 사용하면 벼 엽권의 3가지 항산화 효소 활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백강균 처리 그룹 SOD, POD 활성은 10일째에 대조 그룹보다 20.38%, 8.65% 높고, 30일째에 CAT 활성은 최고로 대조 그룹보다 33.67% 높으며 화학농약은 CAT 활성을 대조 그룹보다 42.71% 감소하게 한다. DGGE 분석 결과 백강균은 벼의 엽권 세균, 진균 미생물 군락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적으며 또한 백강균 처리 그룹 미생물 군락구조 유사도, 샤논(shannon)지수 및 밴드 수(band number)는 모두 비교적 높다. 이는 백강균이 환경친화형 미생물 농약이다는 것을 나타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