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보리-벼 이모작지에서의 순 생물상생산량의 추정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ISSN | 1229-5671, |
ISBN |
저자(한글) | 심교문,민성현,김용석,정명표,최인태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본 연구는 보리-벼 이모작 작부체계의 논 생태계에 설치한 개방형 $CO_2$ 플럭스시스템과 자동개폐식 챔버형 $CH_4$ 측정시스템에서 관측된 탄소관련 온실가스 자료와 작물 생장량자료를 활용하여 논 생태계의 연간(2012.10.20~2013.10.21) 탄소수지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농작물의 생육인자와 환경인자는 $CO_2$ 의 순 생태계교환량(NEE)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CH_4$ 배출량은 영농활동(특히 물관리)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2~2013년 벼-보리 이모작 작부체계의 논 생태계에서 보리 재배기간에는 단위면적( $m^2$ )당 100.2g의 탄소를 흡수하고 벼 재배기간에는 $m^2$ 당 374.1g의 탄소를 흡수하였지만, 휴경기간에는 토양호흡의 형태로 $m^2$ 당 41.2g의 탄소를 배출하여 연간 총 $433.1g ;m^{-2}$ 의 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에 농작물의 수확에 따른 논 생태계의 탄소 배출량과 $CH_4$ 형태로배출되는 탄소량을 포함한 연간 순생물상생산량(NBP)은 $184.7g ;C ;m^{-2}$ 으로 추정되어, 보리-벼 이모작 작부체계의 논 생태계는 탄소 발원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2183915682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Barley-rice double cropping paddy field, lt,TEX gt,$CH_4$ lt,/TEX gt,emission, lt,TEX gt,$CO_2$ lt,/TEX gt,flux,Net biome produ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