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우리 사회에서 불규칙한 생활 습관과 외모에 대한 지나친 관심, 운동량의 감소 등으로 인한 젊은 가임여성의 영양상태 불균형은 심각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영양교육은 영양상태 개선의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행동변화이론을 적용하여 맞춤식으로 실시될 때 효과적이라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틀과 가임여성의 식행동과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영양실무자를 위한 건강체중 관리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식습관이 일련의 과정을 거천 변화한다는 행동변화단계모형과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이 행동변화에 중요하다는 사회인지론을 이론적 바탕으로 하였다. 본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인식전환(문제 행동을 가지고 있으나 행동변화 의향이 없음), 식습관 교정(문제행동을 가지고 있으며 행동변화 의향 있음), 바른 식습관 유지의 세 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인식전환 단계에서는 인지된 이득과 장애에 초점을 맞추어 동기부여함양을 강조하였고 식습관 변화 단계에서는 식생활 실태파악과 자아효능감을 함양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 습득, 바른식습관 유지단계에서는 자기관리와 사회적지지 유도에 초점을 맞추었다 내용면에서는 과학적으로 근거를 중요시하여 식사의 규칙성과 균형성을 강조하였다. 내용개발에는 관련문헌과 전년도에 실시된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결과 및 보건영양교육 자료 전시회를 개최하여 비교 검토한 자료 등을 참고하였다. 인식전환 단계는 내게 맞는 체중 바르게 알기, 저체중, 과제중 문제점인식, 자신감과 의지 유발방법제시, 실천가능한 식행동목표 설정 등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식습관 교정단계에는 식습관교정방법교육, 운동 바르게 하기, 목표체중에 맞는 식단작성방법등을 제시하였고 바른식습관유지단계는 동반인 참석 하에 체중조절방법(식이섭취, 운동방법)토론유도 및 문제점개선방법 제시, 체중관리 어려움 극복방법 등을 제공하였다. 또한 실무에 유용한 간략한 영양교육 및 상담이론과 다양한 교육도구들도 함께 제시하였다. 개발된 교육내용은 내용의 타당성, 이해도, 적합성을 고려하여 연구팀에 의해 수 차례에 걸쳐 수정ㆍ보완되었고 최종적으로 전문 작가에 의해 내용과 포멧이 수정되었다. 애니메이션 전문가에 의해 가임여성의 캐릭터가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캐릭터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에 필요한 그림이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향후 보건영양업무에 적극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되나, 이를 위해 프로그램의 타당성 검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