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and fecundity of Diachasmimorpha longicaudata (Ashmead)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Chun-yan,CHEN, Ke-wei,ZENG, L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실험실 조건에서 귤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의 3령 유충을 번식 숙주로 15, 18, 21, 24, 27 및 30℃ 등 6개의 일정한 항온이 Diachasmimorpha longicaudata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실 온도 범위에서 Diachasmimorpha longicaudata의 세대 발육 시간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줄어들며 발육 시간은 15℃일 때의 45.7d에서 30℃일 때 15.2d로 감소한다. 지나치게 낮거나 높은 온도는 Diachasmimorpha longicaudata의 생육에 일정한 억제작용을 한다. 15℃와 30℃일 때 숙주 벌의 미성숙기 생존율은 각각 10.2%와 31.3%이며, 24~27℃일 때 미성숙기 생존율은 50% 전후를 유지한다. 실험에서 설정한 온도 범위 내에서 Diachasmimorpha longicaudata의 수명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줄어들며 암벌의 수명은 숫벌보다 높은 편이다. Diachasmimorpha longicaudata의 번식력은 24℃일 때 가장 높으며 74.2마리까지 번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론 27, 21과 18℃이며 각각 53.4, 35.7, 31.6마리의 후대를 번식한다. 기타 온도에서는 20마리 이상 번식하지 못한다. 15~24℃의 범위 내에서 군집 내 암벌의 비율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높아지며 24℃일 때 최고로 0.59에 이른다. 21~27℃ 범위에서 후대 집단은 암벌 개체를 위주로 한다. 곤충 군집의 생육과 번식 상황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지표로 내적자연증가율(intrinsic increase rate)을 볼때, 27℃일 때의 내적자연증가율이 가장 높으며, 그 수치는 0.1318이다. 그 다음으로는 24, 21, 30, 18℃이며 각각의 내적자연증가율은 0.1239, 0.0747, 0.0318, 0.0187이다. 반면 15℃일 때의 내적자연증가율과 집단 추세 지수는 각각 -0.0240과 0.8이며, 집단 수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24~27℃는 Diachasmimorpha longicaudata의 생육과 번식에 가장 적합한 온도 범위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147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iachasmimorpha longicaudata,Bactrocera dorsalis,temperature,development,fecundity,Diachasmimorpha longicaudata,귤과실파리,온도,생육,번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