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continuous life-table of Leptocybe invas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u, Fangli,Qiu, Baoli,Ren, Shunxi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광저우(Guangzhou)지역의 Leptocybe invasa는 1년동안 4~5세대를 걸쳐 번식하며, 중첩 세대(generation overlapping) 현상이 존재한다. 월동기(over-wintering period)는 11월 중순부터 이듬해 3월 말까지이며, 월동기간의 유충은 나이가 많은 유충과 번데기 형태로 존재한다. 광저우의 자연환경에서, 인공적인 접종과 자연적인 접종을 결합하여, 2010년 3월부터 2011년 3월까지 Leptocybe invasa의 4개의 세대를 번식하였다. 생명표(life-table)를 이용하여 Leptocybe invasa의 연속세대를 분석한 결과, 제1세대의 순수 증식률(reproductive rate, RO)이 가장 컸으며, 제2세대가 가장 작았다. 제3세대의 내적 자연증가율(intrinsic rate of increase, rm)과 무한증가율(finite rate of increase, lambda;)은 가장 컸으며, 평균적 세대 기간(mean generation time, T)은 가장 짧았다. 제4세대의 rm과 lambda;는 가장 작았으며, T는 가장 컸다. 이는 제3세대 Leptocybe invasa 개체군의 번식 능력이 가장 탁월하며, 유칼리 나무(eucalyptus)에 대한 파괴가 가장 크다는 것을 설명한다. Leptocybe invasa의 발생 시간은 7~9월이므로, 방제시 해당 시기의 제어와 감측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181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eptocybe invasa,generations,life-table,Leptocybe invasa,세대,생명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