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Guihe,Wang, Guojie,Wang, Shiping,Han, Jianguo,Wan, Xinrong,Hao, Shuguang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황막초원(desert steppe)에 서식하는 주요 초식동물(양, 황서, oedaleus asiaticus)의 식성,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의 변화와 초원 퇴화 간의 관계를 토론하였다. 2003년 7~8월, 중국 네이멍구 쑤니터유치(Sonid Right Banner of Inner Mongolia) 황막초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n-alkane 기술을 이용하여 Stipa klemenzii 환경에서, 양(Ovis aries), 황서(Spermophilus dauricus)의 식성 및 그 생태적 지위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방목압(grazing intensity)의 증가와 더불어, Stipa klemenzii의 수는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솔장다리(salsola collina)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양, 황서, oedaleus asiaticus 등 3가지 초식동물의 주요 먹이는 솔장다리였으며, 섭식 비율은 방목압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다. 3가지 초식동물의 목초 선택성 지수는 방목압의 변화와 더불어 변하였으며, Allium bidentatum과 Manyroot Onion에 대한 선택성 지수가 가장 높았다. 3가지 초식동물의 생태적 지위의 중첩 정도는 아주 높았으며, 생태적 지위의 폭은 방목압의 증가와 더불어 작아졌다. 과방목(Heavy grazing)으로 인하여 Stipa klemenzii 군락의 식물 조성은 변하였으며, Stipa klemenzii 군락은 솔장다리 군락에 의해 대체되었다. 3가지 초식동물이 초지자원에 대한 경쟁은 치열하였다. 그러므로 쥐, 곤충의 군집 밀도를 제어하여 재해를 방지하는 것은 가축의 먹이 안전을 보장하는데 중요한 현실적 의의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