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낙동강 지류·지천의 유량·수질 특성 및 하천관리를 위한 등급화 방안 연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ISSN 1229-6031,2384-005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나승민,임태효,이재운,권헌각,천세억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 속한 지류 지천의 효율적인 유역선정 및 수질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38개 지류 지천을 대상으로 수질 및 유량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013~2014년 동안 실시한 수질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수질현황 결과와 각 항목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상관계수가 높고 총량 목표수질지표 항목인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BOD_5$ ), 총인(TP) 지표를 이용하여 $BOD_5$ 농도/유량(Q), TP농도/유량 교차기준으로 지류 지천 등급화 방안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BOD_5$ , $COD_{Mn}$ , TP, TOC 등의 유기오염물질농도는 낙동왜관 및 낙동고령 중권역에 위치한 구미천, 경호천, 진전천, 기세곡천, 용하천, 용호천 등에서 하천환경기준 III 및 IV 등급 (5~8 mg/L 이하) 수준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한 수질항목 (12가지)간 상관관계 조사 결과 역시, $BOD_5$ , $COD_{Mn}$ , TP, TOC 등의 상관관계지수가 다른 수질항목들에 비하여 0.8 (p $BOD_5$ , TP)항목을 활용하여 하천등급화를 실시한 결과, 유량 ( $0.1m^3/s$ 이상)과 유기물 농도가 높은 ( $BOD_5$ gt; 3.0 mg/L, TP gt; 0.1 mg/L) I 그룹의 하천(영산천, 구미천, 기세곡천, 용하천, 용호천, 미전천)이 우선수질개선 및 중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0125536383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지류,지천,유량,수질,하천등급화,Flow Rate,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Tributary,Tributary Grouping Method,Water Quality